김연아 선수는 우유를 마셨을까? - 우유에 대한 불편한 진실 (1편)
프롤로그 “진실은 저 너머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눈 앞에 있다. 다만 가려져 있을 뿐...” - 푸샵 IT산업과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혜택을 누림과 동시에 과거에는 알 수 없었던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동시에 예전에는 감출 수 있었던 사실들을 이제는 더 이상 감출 수 없게 된 것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 사실들이 알려지는 속도는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빛의 속도에 이른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외계인과 UFO에 관한 것이다(영국정부는 UFO에 관한 1급 기밀 정보들을 해제하고 발표하기까지 했다). |
부제: 우유는 과연 인간을 위한 완적식품인가?
그런데.......
부모들이 다 좋다고 하는 것은 다 나쁘다. 햇빛, 우유, 육류, 대학 - 우디 알렌(영화감독)
“이제까지 튼튼하던 대장이 갑자기 예민해질리도 없고...그렇다고 우유가 상한 것도 아니고...제대하기 전까지만 해도 매일 한팩씩 먹던 우유인데...쩝”
도통 이해가 되지 않았다. 게다가 다른 음식이나 식품을 먹으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왜 유독 우유나 우유가 들어간 식품을 먹으면 설사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풀리지 않아 답답했었다. 튼튼한 몸과 뼈를 생각하면 우유를 매일 마셔야하는데 마시지 못하는 그 답답함. 약을 먹었으니 괜찮겠지라는 생각에 한잔이라도 마셔버리면 이내 곧 화장실로 달려가야 하는 통에 입에 대기가 겁이 날 정도였다. 그렇게 우유와의 우정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 것이었다.
그래서 우유에 대해 알아보기 시작했고,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성장기시절부터 나의 친구였던 우유에 대해 불편한 사실들만을 알게 될 뿐이었다. 그래서 내리게 된 결론.
결론은.......
나도 성인이 된 것이다. ㅜㅜ;;;
[사진: 구글] 아! 정녕 우유와 헤어져야 한단 말인가. (오르페우스의 슬픔)
유당불내증(lactose intolerance) 혹은 유당분해효소결핍증(Hypolactasia) 유당(lactose-젖당)을 함유한 우유나 유제품을 섭취했을 때 소장내 존재하는 유당분해효소인 락타아제(lactse-젖당을 포도당과 갈락토스로 가수분해할 때 촉매로 사용되는 효소)가 분비되지 않아 포도동과 갈락토스로 소화되지 못하고 장내 미생물로 인해 발효되어 수소, 이산화탄소, 단쇄지방산 등으로 바뀌면서 구토, 복부 팽만, 복통, 설사, 등을 일으키는 증상을 유당불내증이라고 한다. 배고픈 시절 우유는 적은 돈으로 허기를 달래주는 유일한 영양 식품이었지만 안타깝게도 한국 성인 중 80%가량이 락타아제가 분비되지 않아 우유를 먹으면 속이 부글거리고 설사를 하는 이른바 유당불내증 증상을 보인다. 락타아제 효소 결핍 인구 분포 ▣ 아시아계 성인 약 90~100% (한국, 일본, 대만, 에스키모인 약 80~85%, 타이, 필리핀, 반투족 약 90%) ▣ 아랍과 유대 및 페루 성인의 70~78% ▣ 흑인은 65~70% ▣ 인디언 95% ▣ 이탈리아인 65~70% ▣ 히스패닉 50~60% ▣ 백인 10% 미만 (핀란드 18%, 미국백인 8%, 스위스인 7%, 덴마크인 2%) 세계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인종은 흑인종과 황인종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상의 대다수 사람들은 락타아제 결핍이라는 사실은 쉽게 알 수 있다. 평균적으로 전 세계 인구의 75%는 유당을 소화시키지 못한다. |
증상 |
해당 증상을 보인 환자의 비율 |
소화계 | |
복통, 복부팽만, 복명, 장내가스 |
100 |
설사 |
70 |
변비 |
30 |
메스꺼움, 구토 |
78 |
순환계 | |
두통 및 현기증 |
86 |
집중력 저하, 단기 기억장애 |
82 |
근육통, 관절 통증, 경직, 부종 |
71 |
알레르기 반응 (습진, 가려움증, 비염, 축농증, 천식) |
40 |
부정맥 |
24 |
구강궤양 |
30 |
인후통, 잦은 배뇨 |
20미만 |
* 카디프 대학 연구진이 133명의 환자에게 각각 우유 1리터에 함유된 양에 해당하는 50g의 유당을 먹게 한 후 48시간 동안 유당 거부 반응에 따른 증상을 관찰한 결과 - 우유의 역습 中에서
유당을 소화시키지 못해서 나타나는 증상은 한두가지가 아니다. 심지어는 누군가에게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도 앞에서 언급을 했다. 그렇다면 락타아제가 유아기에만 분비가 되고, 성인이 되어서는 분비가 줄어드는 이유가 궁금해진다.
왜 인간은 성인이 되면 락타아제 효소 분비가 줄어드는가?
곰곰히 생각해봐도 이것은 지극히 상식적인 일이다. 우리 나라 음식 역사만 봐도 그렇다. 소의 젖이든, 염소의 젖이든 접할 수 있는 기회는 거의 없었다. 조선시대의 경우에는 임금님만 먹을 수 있을 정도로 귀한 음식에 속하는 것이 우유였다. 조선시대에도 이러했는데 그 이전은 말해 무엇하랴.
조선후기 조영석이 그린 젖짜기(採油) 그림 (출처: 오마이뉴스)
영의정 윤형원은 명종의 재위기간 중 상당한 파워를 가진 권문세족 중의 하나였는데, 임금님이 즐겨 먹는 우유죽을 집에서 만들어 먹었다가 탄핵의 대상이 되어 귀향을 당할 뻔 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 임금님을 위한 특별한 우유죽을 만드는 기구를 몰래 가지고 나와 처자식은 물론이고 심지어 첩까지 그 귀한 우유죽을 배불리 먹여서 구설수에 오르게 된 것입니다. 이러한 내용은 1545년에 일어났던 을사사화(乙巳士禍)에서 화를 입은 여러 사람의 전기를 모은 책인 을사전문록(乙巳傳聞錄)에 보다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태복(太僕)의 소락(酥酪)은 주상을 위해 공급하는 것인데, 낙부(酪夫)가 그릇을 들고 가서 그 집에서 끓이기를 어전(御前)에 올리는 것처럼 하며, 자녀와 복첩(僕妾)들도 싫증이 나도록 먹었다." |
동물도 락타아제 효소 분비가 줄어드는가?
필자가 1998년도에 미국에 있었을 때 느낀 것 중에 몇가지가 있는데
첫째, 뚱뚱한 사람이 너무 많다는 것. 족히 150kg이상 나가보이는 남녀가 거리에 넘쳐난다는 것이었다.
둘째, 우유의 천국이라는 것. 갤론(약 3.7리터) 통에 담긴 우유를 그 때 처음 봤다.
셋째, 육류 소비가 엄청나다는 것. 거의 매끼니 육류를 소비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넷째,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많다는 것.
이다. 첫번째 사항만 가지고도 그때 당시 의문이 많이 들었었다. 왜 이렇게 거대하게 뚱뚱한 사람들이 많을까?라고...그런데 쉬라 레인이라 사람은 두번째 사항에 의문이 들었었나보다.
우유는 인간이 소화해낼 수 있는 완전 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삼일절인 오늘 밴쿠버 동계 올림픽이 오늘로 끝이 난다. 한국은 종합순위 5위. 선수들의 선전에 다시 한번 박수를 보낸다. 김연아는 정말 우유를 마시고 훈련을 했을까?
To be continued
우유에 대한 불편한 진실 2편 바로가기
슈퍼맨의 뼈도 강하게 만든다는 우유! Got Milk? - 우유에 대한 불편한 진실 (2편) |
우유나 유제품 드시고 설사한 적 있으시면.....추천 꾸욱~ 댓글 필수~ ^-^;
'Truth Or Lie > 불편한 진실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제역 공포와 과장된 식품 정보들 - 우유에 대한 불편한 진실 (3편) (32) | 2017.02.21 |
---|---|
대중을 혼란시키는 건강 기사 헤드라인! 어떻게 대할 것인가? (18) | 2017.02.03 |
천연, 자연, 내추럴, 리얼, 100%에 속는 소비자 - 천호식품 사태 (10) | 2017.01.04 |
슈퍼맨의 뼈도 강하게 만든다는 우유! Got Milk? - 우유에 대한 불편한 진실 (2편) (51) | 2010.03.15 |
김연아 선수는 우유를 마셨을까? - 우유에 대한 불편한 진실 (1편) (26) | 2010.03.02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김연아와 우유의 관계 ㅋㅋㅋㅋ 정말~ 흥미롭고 유익한 정보네요^^
안녕하세요. 미인님~ 아마도 제 생각엔 김연아 선수는 우유를 안마시지 않을까? 한다는....자칫 경기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어서....특히 경기 전날 부터는 음식 섭취에 굉장히 민감할 듯 합니다. ㅎㅎ. 유익하셨다니 감사해여~ ^-^
재미게 읽고 갑니다^^
안녕하세요. 미녀강사님~ 정말 재미있으셨나요? ^-^.
정말 재밌게 보고 갑니다^^
루뮈님~ 캄사 캄사~ ㅎㅎ....앞으로 몇편 더 연재를 해야 할 듯 합니다. ㅋ
우유에 관한 이야기가 이렇게 많은줄 몰랐습니다.
늘 배탈이 나서 잘 먹지는 못하지만 유익한 정보인것 같습니다.
논문 발표해도 되겠어요~전 다음편이 기대됩니다
양철지붕님은 아이가 있으시니까 더욱 유익한 정보가 될 듯 합니다~ 이해관계에 얽혀 있는 집단들에 의해 우유에 대한 진실이 가려져 있는 거죠. 기대하신다니 긴장된다는...^^;;;
우유에도 불편한 진실이 존재하는군요. ㄷㄷㄷ
저도 다음 검색엔진에 대한 불편한 진실 트래백 걸고 갑니다~ ^^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것들에는 불편한 진실이 있기 마련인 거 같습니다. 다음이 괜히 그러는 건 아닌 거 같죠? ㅎㅎ
저는 우유 마셔도 괜찮은데...
아직 성인이 될려면 멀은 건가요? ㅋㅋㅋ
락타아제 효소가 아직도 분비가 되시는군여....ㅋㅋㅋ 젖을 아직 안떼셨다는. 풉~ ^-^
흰 우유는 맛이 없어! ㅋ
초등학교 우유급식땐 토욜에만 주는 쪼꼬우유만 먹었어요.
나머진 선생님 몰래 버리기 바빴죠.
결국, 안 먹길 잘한건가..^^;
원래 바나나 우유, 초코우유, 딸기우유가 더 맛있는 법 이긴 한데...첨가물 들어가서...더 안좋삼~ ㅋㅋ Lucy는 요즘 우유 먹으면 설사 안하지? ㅎㅎ
저도 정말 우유를 멀리 하려고 노력하는 편인데..
우유와 같이 먹어야 하는것들이. 왜 일케 많은건지..ㅠㅡ
그러게요~ ㅎㅎ. 같이 먹으면 맛있는 것들도 있고, 우유 성분이 들어간 제품들도 있고~ ^-^
저는 장 좋아지라고 야쿠르트를 만들어먹는데...그것도 혹시??
안녕하세요. 팬님~ 장의 건강은 장이 얼마나 잘 움직여주느냐에 달려 있는데 그것은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육식을 위주로 하는 식사를 하게 되면 사람의 장 특성상 오래 머무를 수 밖에 없어 부패하게 됩니다. 결국 이것이 장기화 되면 결국 발생하는 것이 대장암이지요.
장의 운동을 활성화하는 것은 섬유질입니다. 이는 곡물과 탄수화물에 풍부합니다. 콩, 현미, 고구마, 감자, 바나나 등이 대표적인 섬유질 식품이기도 합니다. 물론 야채도 섬유질을 포함하고 있지만 곡물류와 탄수화물보다는 좀 떨어집니다. 변비가 생기는 원인은 이러한 탄수화물유의 식품을 너무 적게 섭취해서 발생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섬유질이 없는 식품은 육류입니다.
육류섭취를 너무 자주 하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나 드실 일이 있다면 반드시 야채와 함께 드시길 바랍니다.
말씀하신 장 건강을 위해 유제품을 드시는 것은 아마도 유산균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이 유산균은 글루코스나 당류를 분해시키는 세균으로 특히 된장과 간장류 김치류에 많이 있습니다. 우유를 발효시킨 유제품에도 들어있지만 특별히 권하고 싶진 않습니다. 다만 가끔 드신다면 액상보다는 떠먹는 유제품을 권합니다. 요즘 유산균 관련 제품이 봇물처럼 나오는데 효과면에서 너무 과장스럽게 광고를 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장의 건간을 생각하신다면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시는 것이 우선이고, 그 다음이 발효제품을 드시는 것이 좋은데 천연식초(양조식초 제외),된장,김치를 적절히 조절하여 드시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장을 튼튼하게 하는 운동으로는 복근 운동과 허리 운동 및 스트레칭이 도움이 되며, 편안한 호흡도 장이 스트레스 받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물이 특히 중요합니다. 물을 충분히 드셔야 장 운동에도 도움이 된다는 걸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고..행복한 주말 되시길 바랍니다~ ^-^
저도 우유의 참 모습에 대한 이슈에 관심이 많았는데요
글 정말 잘 읽었습니다
많은 정보 얻고 가네요 +_+
안녕하세요. 아리타님~ 알고 먹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진실이 이해관계에 얽혀 보이지 않게 가려지고, 그것을 모른체 일방적으로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것은 위험한 것이죠.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진실된 정보가 중요한 거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고, 종종 들려주시길 바래요~ ^_^
이상하게 트랙백이 걸렸네요..
ㅋㅋㅋ
삭제도 안돼고..
아무튼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아메바33님~ 잘못 걸린 트랙백 삭제해드렸습니다. ^-^.
'우유에 대한 불편한 진실' 이라는 글을 서핑 중 몇개월 전에 봤었는데, 요즘 푸샵님 블로그의 정보가 좋아서 계속 방문하고 글 읽고 댓글 쓰고 하다 보니 여기서도 보내요!
그런데, 전 청소년기에는 흰 우유를 싫어해서 거의 먹지 않았고 초코우유를 가끔 마셨으며 흰우유를 먹을려고 노력할 때는 막 빨리 마셔버리거나 초콜릿 쿠키 같이 단 것과 함께 마셨는데요...
20살 넘어서 몸만들기 운동하고 챙겨먹기 노력하면서 흰 우유를 마시면서 우유의 고소함을 알았습니다.
저지방 우유를 그냥도 마시고 무슬리를 타서 먹기도 하며 미숫가루를 타기도 하고 해서 1리터 정도를 마신 적도 많이 있었는데, 왜 전 꺼꾸러 가는 건가요?ㅋㅋ 아님 전 유당을 소화 시킬 수 있는 수치에 속한 건가요?
우유의 광고가 이해 관계에 얽힌 사실이라고 봤을 때 전 단백질 보충제 회사들의 광고가 아주 과장 된 것이 생각이 나네요! 모든 사람들이 운동을 시작한다고 국가대표, 프로 선수 등으로 만들고 있으니까요... 태능 선수들이 과연 이런 것들 먹을 까 궁금하네요ㅋㅋ
ㅎㅎ 다큐로 제작이 되었죠. 몸짱이라못먹어!님은 아직 락타아제 효소가 잘 나오나봐요. 먹어도 설사하거나 속이 불편하지 않으신 걸 보니~ ^-^.
단백질 보충제든, 건강보조식품이든 대부분 과장을 합니다. 그래서 벌금 물기도 하죠. 태능선수들도 보조식품 드시는 분들은 먹는답니다. ^-^.
저도 우유만 먹었다하면.. 설사를.. ㅠㅠ
유당 불내증이시군요. ^^.
우유를 꼭 드셔야 한다면 우유의 양을 대폭 줄이시거나,
아니면 락타아제가 들어간 우유를 드시거나, 별도로
락타아제 효소를 약국에서 구입하셔서 드셔야 합니다.